간염(3) A형 간염이란? A형 간염 원인, 증상, 특징, 치료, 예방접종

안녕하세요 건강관심사 준희연입니다!
간염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 지난 게시물에 이어 이번 게시물부터는 A, B, C형 간염을 각각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간염(3) A형 간염이란? A형간염의 원인, 증상, 특징, 치료, 예방접종

#A형간염 #간염 #A형간염원인 #A형간염이란 #A형간염증상 #A형간염치료 #A형간염예방접종 #A형간염예방

A형 간염이란?

A형 간염이란 A형 간염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해 간을 주로 공격해 간세포가 갈라지고 고열, 황달이 생기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질환입니다.

어린이나 영유아에게 A형 간염이 발생할 경우 거의 증상이 없고 가볍게 앓고 지나가며 항체가 생겨 평생 면역이 됩니다.

그러나 성인이 된 후 A형간염에 걸리면 80% 이상의 확률로 황달, 간기능장애 등 급성간염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형 간염은 대부분 감기에 걸리듯 자연스럽게 완치되지만 성인 급성 A형 간염 환자의 0.5%(200명 중 1명)는 매우 치명적이므로 심각한 간 손상이 발생하여 투석, 간 이식 방법만으로 완치될 수 있습니다.

A형 간염의 증상

A형 간염의 증상으로는 간 수치 상승, 발열, 식욕 감퇴, 황달, 복부 통증, 메스꺼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급성기에는 항체검사를 통해 확진이 가능합니다.

A형 간염의 잠복기는 보통 4주 정도입니다.

A형 간염의 원인

간염의 다른 종류인 B형, C형 간염의 원인이 혈액인 것과 달리 A형 간염의 원인은 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면서 발생합니다.

주사기를 통해 감염된 혈액에 의해서도 A형 간염 감염이 가능하긴 하지만 그럴 확률은 적습니다.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도 감염되며, A형 간염을 가진 모체가 출산 시 전염도 가능합니다.

즉, 모계 감염인데요.저희 집의 경우 아버지 어머니(즉, 할머니)가 A형 간염이고 아버지 형제들은 모두 A형 간염을 가지고 있습니다.

A형 간염은 모계 감염이기 때문에 아버지가 A형 간염을 가지고 있는 우리 집 케이스는 직접 감염은 없지만 조심해야겠네요. A형 간염 치료제

A형 간염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단, 식사를 잘못하거나 황달이 심할 경우 입원하여 간보호제, 수액치료를 병행합니다.

A형간염 환자는 발병 후 2주 또는 황달 발생 1주일은 A형간염 전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손 씻기, 소독 등 개인위생에 신경 써야겠네요.A형 간염은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합니다.

A형 간염 예방접종

A형 간염 예방접종으로 95% 이상의 간염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생후 12~23개월 이후 소아에게 6~12개월 간격으로 A형간염 예방접종을 실시합니다.

최근에는 소아에게 필수적으로 예방접종을 하지만 현재 20~40대 성인에게는 항체가 거의 없습니다.

A형 감염 진단 이력이 있거나 A형 간염 예방접종력이 없는 청소년, 성인에게도 예방접종이 권고됩니다.

요약하면 A형간염 예방접종은 성인이라도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예방접종을 완료한 경우 20년 이상 면역이 지속되므로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A 형 간염 주사를 맞아도 항체가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내 동생은 주사를 맞고 항체가 생겨서 A형 간염의 위험성을 별로 걱정하지 않아요.접종 후에도 개인적인 차이는 다소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건강정보 #건강관리 #건강식품 #건강기능식품 #영양제 #건강 #생활건강